사업공고 상세
사업공고내용
2023년도 「중견기업-공공연구기관 공동기획」 지원기업 모집 공고
구분 수요조사 공고접수기간/상태 2023-05-24 ~ 2023-06-23 [마감]
공고번호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3-466호 등록일 2023-05-23
파일

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3-466호


2023년도 『중견기업-공공연구기관 공동기획」 지원기업 모집 공고


 산업통상자원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「중견기업 사업다각화모색사업」의 일환으로 우수한 R&D역량을 보유한 공공연구기간과 기술협력을 통해 중견기업의 개방형 혁신을 촉진하고자, 「2023년도 중견기업-공공연구기관 공동기획 지원기업 모집」을 공고하오니 관심있는 기업은 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

2023년 5월 24일

산업통상자원부장관



 사업 개요


1. 사업목적 : 중견기업과 우수 연구역량을 보유한 공공연구기관 간의 기술협력 및 네트워크구축을 지원함으로써 중견기업의 기술혁신 촉진 및 경쟁력 향상

   

2. 지원대상

 ㅇ 중견기업 또는 중견기업 후보기업 

중견기업

「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」제2조 1호의 기업

중견기업

후보기업

「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」제2조 2호의 기업 및

「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」제2조 제4항 기업

- 직전 3개 사업연도 동안의 매출액 연평균 증가율을 「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」별표 2에 따라 산정한 값이 1% 이상인 기업 또는

- 직전 3개 사업연도 동안의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투자 금액 비율의 평균이 2% 이상인 기업

 ㅇ 전 산업 분야 (중견기업 유망 15대 핵심산업 우대)


3. 지원규모

  ㅇ 지원규모 : 20개 기업 내외 선정

  ㅇ 지원유형 : Track 1, 2 중복신청은 불가능

구분 

(Track1) 공공연구기관제안형

(Track2) 중견기업  제안형

내용

공공연구기관이 사업화 파트너를 찾고 있는 과제에 중견기업이 참여

○중견기업이 공공연구기관과 협력을 희망하는 과제를 제안

지원

연구기관

(10개)

한국기계연구원, 한국생산기술연구원, 한국세라믹기술원,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, 

한국자동차연구원, 한국재료연구원, 한국전기연구원, 한국전자기술연구원, 

한국전자통신연구원, 한국화학연구원


 지원내용


1. 지원내용 : 고난도 혁신기술 개발, 신사업 진출에 어려움을 겪는 중견기업(또는 중견후보기업)을 해당분야 공공연구기관과 매칭하여 공동기획 및 협력네트워크 활동 지원 

  * 연구기관과 선정기업이 협의하여 기업별 필요한 협력 업무 지원

 

지원 업무

① 기술정보제공

산업기술동향, 연구시설 및 R&D사업 정보, 시장동향 분석 등 

② 기술개발 타당성 검토

기술적 타당성 분석 및 기술개발개발/사업화 가능성 검토

③ R&D과제발굴 및 기획

R&D과제 발굴 및 R&D 로드맵 수립 등 과제기획

④ 사업화전략수립

외부환경 및 내부 역량에 따른 투자계획 및 사업화 로드맵 수립

⑤ 연구네트워킹 

우수 연구인력과 교류 및 관련 연구기관·대학·기업등과 네트워킹

     ※ 상기 지원업무는 중복수행 가능


2. 지원기간 : 4개월 내외(협약일로부터~2023.11.30.)


3. 지원기업 선정절차 및 기준


ㅇ 선정방법 : ① 서류접수 및 검토 → ② 심의위원회

  - 서류 검토시, 지원제외 사항에 해당하는 경우 심의 제외될 수 있음

  - 신청 서류 일부 정보는 연구기관과 공유하여 사전 검토의견 수렴 가능

  

ㅇ 심의 항목

  - 기술협력 필요성, 기업 역량, 기대효과 등을 종합하여 심의

   

항목

세부내용

배점

기술협력 필요성

(40)

- 기술의 혁신성 및 우수성

  • -기술분야 및 기술협력의 필요성

20

- 중견기업 유망 15대 핵심산업 해당 유무

5

- 목표 명확성 

시장진출 경쟁력 확보 가능성

15

기업 역량

(30점)

- 신청기업의 자격 유무

- 신청기업 역량 및 보유기술 수준 

30

기대효과

(30)

- 협력지원 후 기술적·경제적 효과(활용성 및 파급성등)

- 협력지원 후 공동연구 활동방안 및 지속가능성

30

합계

100


ㅇ 내·외부 전문가로 심의위원회를 구성하여 최저·최고를 제외한 평균점수로 신청 기업 지원순위 산정 (평점 70점 이상을 지원대상으로 함) 


4. 공공연구기관 제안과제

 ※ 과제별 세부내용은 붙임 참조   

순번

과제명

연구기관명

2023T-001

친환경 소성윤활 표면처리 연계 냉간단조 부품 제조 기술 개발

한국생산기술연구원

2023T-002

신재생 에너지 산업군 적용 초고내식 표면처리(코팅제) 체결부품 제조 기술 개발

2023T-003

5 m 이상 고소 앙커시공 대응 건설용 첨단 앙커로봇 및 자동화 시스템 개발

2023T-004

온사이트형 인덕션 기반 암모니아 분해 수소생산 시스템 지능화 및 소형모듈화

2023T-005

이산화탄소 액화 공정 설계 및 운전 실증 기술 개발

2023T-006

내장형 고체 커패시터용 PEDOT 기반의 고체 전해질 국산화 기술 개발

2023T-007

과수원 내 생육 모니터링 및 지도작성을 위한 자율주행 무인항공기 개발

2023T-008

합성 가스 정제 및 산성 배가스 처리를 위한 국산 흡수제 및 공정 기술 개발

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

2023T-009

도서·산간지역 주택의 Off-grid 전력 공급을 위한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개발과 실증

2023T-010

xEV 배터리 설계 유연성 향상을 위한 무선 배터리관리시스템(wBMS) 기술 개발

한국자동차연구원

2023T-011

상용차 ePTO용 100kW 이상급 헤어핀 권선 기반 구동모터 비출력 향상 기술

2023T-012

친환경·저에너지 알루미늄 파이프 인서트 고압다이캐스팅 핵심기술 개발

2023T-013

연속 장시간 체공할 수 있는 무인기 및 연료전지 동력원 기술 개발

한국재료연구원

2023T-014

에너지 그리드 연동형 대면적 스마트 창호 기술 개발

한국전자통신연구원

2023T-015

ePTO System을 위한 디지털트윈 표준 프레임워크 기반 다중트윈 연계분석 기술 및 고정밀 고장진단 기술개발

2023T-016

5G 서비스 고도화용 5G & LTE 일체형 기지국 안테나 기술 개발

2023T-017

촉매직접발열을 활용한 탄소중립형 화학 공정 기술

한국화학연구원

2023T-018

수소 유통 구조 개혁을 위한 액상유기수소저장체 (LOHC) 기반 수소 저장 기술 개발

2023T-019

3nm 이하 초미세공정 고밀도 플라즈마 에쳐용 차세대 포커스 링 신소재 개발

한국세라믹기술원

2023T-020

인공지능 기술 기반 XR 콘텐츠용 3차원 메타 휴먼페이스 생성 기술 개발

한국전자기술연구원

2023T-021

전기차용 양방향 전력 변환 및 온라인 운영제어 기술

2023T-022

제조업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에너지 디지털트윈(DT, Digital Twin) 기술 개발 및 실증

2023T-023

차세대 화합물 전력반도체 제조를 위한 전극 형성용 증착 장비 개발

2023T-024

도시철도 추진용 210kW급 전폐형 영구자석형 동기전동기 상용화 개발

한국전기연구원


 신청서 접수 방법 


1. 접수기간 : 접수기간 : 2023. 5. 24(수) ~ 2023. 6.23. (금) 18시까지


2. 접수방법  : K-PASS(www.k-pass.kr)를 통한 전산접수


    * 신청 양식은 ①한국산업기술진흥원 홈페이지(www.kiat.or.kr) > 사업·지원 > 사업공고 또는 ②K-PASS(www.k-pass.kr) > 알림 > 사업공고에서 다운로드


    * 온라인 접수만 실시하며 별도의 이메일, 우편, 방문 접수는 불가


3. 접수절차 : 통합회원 가입(필요시) → 로그인 → 온라인등록 → 파일 업로드

 ①통합회원가입 : KIAT 사업관리시스템(http://www.k-pass.kr)에 회원가입 여부를 확인하고, 등록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신규 회원 가입

 ②온라인 등록 : 신청기관 및 신청내용의 공통적인 내용 일부를 기입하는 것으로, 신청 접수시 사업관리시스템(http://www.k-pass.kr)을 통해 입력

 ③파일 업로드 : 청서 전체의 내용을 작성·업로드하는 것으로, 한글 등 문서파일 양식을 다운받아 해당 내용을 전자문서로 작성한 후 해당파일 업로드 필수 


4. 제출서류 : 신청서 및 별첨자료

순번

제출서류

양식번호

1

중견기업-공공연 공동 R&D기획 신청서


 (track 1) 공공연구기관 제안형 : 중견기업-공공연 R&D기획 과제신청서

별첨 1-1

 (track 2) 중견기업 제안형 : 중견기업-공공연 R&D기획 제안요구서

별첨 1-2

2

중견기업 확인서 또는 중견기업후보기업 증빙자료


 (중견기업) 중견기업 확인서(http://sminfo.mss.go.kr)


 (중견기업후보기업) ① 최근 3년간 회계감사보고서 또는 결산재무재표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② 중견기업후보기업 확인 양식


별첨2

3

개인정보 이용·제공 동의 및 청렴서약서

별첨3

4

신청자격적정성 확인서

별첨4

5

사업자등록증 사본


6

기업부설연구소 또는 연구개발전담부서 인증서


 * 제출서류는 일체 반환하지 않음


5. 유의사항


□ 서류제출


 ○ 선정평가 과정에서 허위 기재사실 발견 시에는 선정과정에서 배제되거나, 선정 이후에도 취소될 수 있으니 서류 작성 및 제출에 유의

 ㅇ 제출된 서류는 일체 반환하지 않으며, 동 사업의 추진을 위한 참고자료로만 활용


   *  제안 사항의 검토·활용을 위해 필요한 범위 내에서 제출된 내용을 관련 전문가 등 제3자에게 공개하거나 제3자와 공유할 수 있음(상기 제3자에 대해서는 법적, 제도적 보안유지 준수의무에 대한 보안서약서를 징구하고 있음)

□ 지원 제외 : 신청 기업이 아래 자격 제한 요건에 해당되는 경우


 ○ 접수 마감일 현재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참여제한을 받고 있는 경우

 ○ 기업의 부도

 ○ 세무당국에 의하여 국세, 지방세 등의 체납처분을 받은 경우

 ○ 신청기업 및 대표자가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제한에 해당하는 경우

 ○ 민사집행법에 기하여 채무불이행자명부에 등재되거나, 은행연합회 등 신용정보기관에 채무불이행자로 등록된 경우

 ○ 파산·회생절차·개인회생절차의 개시 신청이 이루어진 경우

  * 단, 법원의 인가를 받은 회생계획 또는 변제계획에 따른 채무변제를 정상적으로 이행하고 있는 경우는 예외로 한다.

 ○ 사업개시일이 3년 이상인 기업은 최근 2년 결산 재무제표상 부채비율이 연속 500% 이상 또는 유동비율이 연속 50% 이하인 경우
(사업개시일로부터 접수마감일까지 2년 미만인 기업의 경우 미적용)

  * 단, 기업신용평가등급 중 종합신용등급이 'BBB'이상인 경우 또는 외국인투자촉진법에 따른 외국인투자기업 중 외국인 투자비율이 50%이상이며, 기업설립일로부터 5년이 경과되지 않은 외국인투자기업은 예외로 한다.

 ○ 최근 결산 기준 자본전액잠식

 ○ 외부감사 기업의 경우 최근년도 결산감사 의견이 “의견거절” 또는 “부적정”


□ 성과관리


 ○ 지원 연구기관은 지원기업과 협력하여 동 과제 종료기간 이내에 기획 내용, 사업화전략 등을 포함한 공동기획 결과보고서 작성 및 제출 의무가 있음

 ○ 지원 연구기관과 지원기업은 사업 수행 성과관리를 위해 협력성과 자료제출 및 설문조사 등 협조의 의무가 있음

 ○ 지원기업은 공동기획 관련 업무 대응을 위한 전담인력 1명 이상 필수 배치


□ 기타사항 


 ○ 다음의 경우 선정을 취소할 수 있음

   - 제출된 서류 등이 허위, 위·변조, 그 밖의 방법으로 부정하게 작성된 것이 확인된 경우

   - 선정 후 지원포기서를 작성하여 제출하는 등 참여를 포기한 경우

   - 지원 후 관련 법령 및 규정준수, 협력활동 등을 성실히 수행하지 않을 경우

   - 사업운영을 위한 요청사항에 협조하지 않는 등 기타 사업 진행이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 

 본 과제수행은 동시수행 연구과제수에 포함하지 않음

6. 향후 일정


구분


내용


비고






모집공고


○ 사업내용 및 신청서식 공고


‘23.5






 신청·접수


○ 신청기업은 유형별 해당 양식을 작성하여 제출


‘23.5.24

~ 6.23






 사전검토


○ 중견기업 여부 등 자격요건 및 제출서류 검토 

 - 중견기업 확인서 또는 중견후보기업 자격요건


‘23.6월






 공공연 매칭


○ 기업 제안요구서 검토 및 공공연구기관 매칭

  - 신청기업의 1순위 희망 공공연구기관 매칭이 어려운 경우, 추가 매칭 검토


‘23.7월






심의위원회


 ○ 지원기업 선정


‘23.7월






공동기획TF 추진 


○ 선정기업 대상 중견기업-공공연 공동기획 TF 운영

  - 협력희망내용 협의, 공동기획 및 사업화 기회 탐색, 협력네트워크 활동 등 

○ 공동기획TF 결과보고서 작성 및 제출


협약일

∼‘23.11.30

※ 상기 일정은 상황에 따라 조정될수 있음


7. 관련 법령 및 요령 등


 □ 산업기술혁신촉진법, 산업기술혁신촉진법 시행령, 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 강화에 관한 특별법, 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



 문의처


구분

담당

연락처

총괄문의

한국산업기술진흥원 중견기업기획팀

 02-6009-3501

 yoomice@kiat.or.kr

공공연구기관별 문의

공공연구기관별 담당자

[공공연구기관별 문의처] 참조

사업관리시스템(K-PASS) 접수문의

한국산업기술진흥원 디지털정보화실

 02-6009-4318, 4319, 4320




<공공연구기관별 문의처> 

* RFP 세부내용 문의는 아래의 기관별 문의처와 통화 후, 필요시 담당 연구자와 연결해 드립니다.

기관명

문의처

전자우편

한국기계연구원

042-868-7396

kimjy@kimm.re.kr

한국생산기술연구원

041-589-8315

dsh8219@kitech.re.kr

한국세라믹기술원

055-792-2797

mhlee83@kicet.re.kr

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

042-860-3171

kkkoo@kier.re.kr

한국자동차연구원

041-559-5892

dwcha@katech.re.kr

한국전자기술연구원

031-789-7614

wonbae.son@keti.re.kr

한국전자통신연구원

042-860-1804

hominkim@etri.re.kr

한국재료연구원

055-280-3584

shhong@kims.re.kr

한국전기연구원

055-280-1632 

bcwoo@keri.re.kr

한국화학연구원

042-860-7117

ljm1020@krict.re.kr









목록 인쇄
이전글, 다음글
이전글 2023년도 중견중소기업상생형혁신도약사업(탐색연구) 신규지원 2차 공고
다음글 2023년 지역기업-청년 희망이음 지원사업 공고